패션 트렌드

미술관 옆 멋쟁이

2016.03.17

by VOGUE

    미술관 옆 멋쟁이

    패션 괴짜들로 가득한 패션 위크에서 진짜 멋쟁이를 찾기란 힘들어졌다.
    이제 그들을 만나려면 갤러리로 가야 한다. 상상 초월의 재력에 세련된 감각까지 겸비한 예술계 멋쟁이들 속으로!

    지난 11월 말 새벽 1시가 넘은 시간, 저택들이 즐비한 평창동 어느 골목에 경찰차가 요란한 불빛과 함께 멈춰 섰다. 가나아트센터 창고에서 열린 파티가 절정으로 치닫던 순간이었다. 한 독립 매거진이 어느 사진가의 전시 오프닝을 위해 마련한 파티 음악이 고요한 주택가를 덮친 것. 철문 밖엔 제복 차림의 경찰들이 어슬렁거렸지만 지하 파티는 전혀 아랑곳하지 않았다. 정체불명의 칵테일을 손에 든 채 몸을 흔들며 작품을 감상하는 젊은이들의 모습은 서울에서 보기 드문 예술 파티 풍경. 자타공인 서울 힙스터들이 죄다 모인 그곳을 지켜보던 이들 중에는 스웨덴에서 온 디자이너도 있었다. 아크네 스튜디오와 뉴욕의 디자인 회사 ‘바론&바론’에서 일하며 전 세계 온갖 쿨한 파티를 신물 나게 경험해본 그가 서울에서의 파티를 즐긴 소감은? “모두 옷을 너무 잘 입고 있어! 예술 파티가 아니라, 패션 파티 아니야?”

    지금까지 옷 잘 입는 걸로 치면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사람들은 이바 패션 피플이었다. 하지만 언제부턴지 그들에게 필적할 만한 멋쟁이들이 출현했다. 패션 피플들이 보기에 ‘괘씸한’ 그 무리는 예술계에 몸담고 있거나 그 언저리에 머무는 이들이다. 패션 피플에 대항해 ‘아트 피플’이라 불러야 할까? 어느새 자기만의 스타일로 무장한 채 패션 피플들을 위협하고 있으니 말이다. 해외 아트 페어부터 독립 갤러리의 오프닝 파티, 또 한가한 삼청동의 갤러리까지. 신세대 아티스트들은 발렌티노 스니커즈를 신고 작업실에 들어서는가 하면, 큐레이터들은 셀린 펌프스를 신고 또각또각 소리를 내며 갤러리를 오간다. 여기에 버킨 백과 에르메스로 무장한 수집가들까지.

    이 새로운 흐름의 시작은 런던과 뉴욕, 마이애미 등의 아트페어에서 감지됐다(민첩한 해외 매체들은 이들을 주목한 지 오래다). 지난 몇 년간 영국 <보그>는 런던 프리츠 아트 페어를 찾은 멋쟁이들을 촬영했다. 덕분에 우리는 남편과 함께 포즈를 취한 피비 파일로와 프라다 코트를 입은 라프 시몬스를 구경할 수 있었다. 또 <WWD>는 뉴욕 프리츠 페어 VIP 공개 당일 전 세계 최고 컬렉터들과 갤러리스트들을 공개했다. ‘스타일닷컴’ 역시 아트 바젤 마이애미 비치를 찾는 예술계 인물들의 옷차림을 기록했다. 꼼데가르쏭 스커트와 발맹 가죽 스커트를 입은 멋쟁이들은 파리 패션 위크의 멋쟁이 못지않을 만큼 끝내줬다(패션계 사람들이 아트페어에 많이 방문하자 그곳을 제5의 패션 위크라고 부를 정도). 그리고 루이 비통, 발리 등 패션 브랜드는 서둘러 마이애미에서 파티를 열고 예술계와 친한 척을 잊지 않았다. 또 특급 멋쟁이들만 조신하게 다루는 <젠틀 우먼>은 유럽 갤러리스트나 여성 아티스트들을 모델로 화보를 찍는다. 이번 겨울호의 주인공은? 암스테르담에서 활동하는 회화 작가 마를렌 뒤마다.

    이들은 패션 위크에서 쉽게 날개를 펴는 ‘패션 공작새’가 아니다. 스트리트 패션 사진가들에게 찍히기 위해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상’으로 차려입고 쇼장에 나타나는 블로거들과 차원이 다르다는 얘기다. 수백 억짜리 예술품을판매하는 갤러리스트들은 격에 맞는 최신식 하이패션으로 무장하고, 작품을 사기 위해 비밀리에 모인 0.001%의 VIP 고객들은 자신의 부를 증명하는 고매한 스타일을 과시한다. 지난해 홍콩 아트 바젤에 다녀온 어느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현지에서 다급한 투로 이런 메시지를 내게 보내왔다. “여기 중국 멋쟁이들은 죄다 모여 있어. 벤틀리나 롤스로이스를 몰고 온 어린 갑부들이 셀린과 샤넬로 쫙 빼입고 알렉스 카츠 작품을 마구 사들이고 있다구! 대박!!!”

    앤디 워홀과 놀던 시절부터 예술계와 패션계를 넘나든 칼럼니스트 글렌 오브라이언은 꽤 오래전 이런 품평을 미국판 <GQ>에 남겼다. “예술계야말로 완벽한 패션 소비자들이다.” 오랫동안 전 세계 남성들에게 스타일 레슨을 해온 <GQ> 스타일 가이의 변은 다음과 같았다. “그들이야말로 진정한 하이패션 괴물들이자 꾸뛰르 고객이며, 가장 용감무쌍한 패션 빅팀이다. 대부분 갤러리들에는 잘 빼입은 디렉터들과 잘생기고 깔끔한 어시스턴트들이 함께한다. 뉴욕 아모리 쇼(뉴욕에서 열리는 아트페어) 가운데 가장 성공적인 갤러리들에는 놀랄 정도로 아름다운 아가씨들이 일한다. 그들 모두 가장 패셔너블한 옷과 진기한 구두들을 신고 있다.”

    그건 뉴욕과 런던, 마이애미에 국한된 상황이 아니다. 연말에 줄이어 열린 서울의 몇몇 갤러리들의 전시 오프닝 파티에서 만난 예술계 사람들의 옷차림은 충분히 인상적이었다. 11월 말 북촌의 갤러리에서 열린 주목받는 신인 작가의 오프닝 파티를 찾은 어느 디자이너는 이렇게 말했다. “한국어보다 영어가 편한 듯한 최고급 이탤리언 수트 차림의 갤러리 대표가 샤넬과 에르메스 백을 들고 전시장을 찾은 ‘따님’들에게 작가를 소개하느라 바쁘더군요. 그 곁에선 주인공 아티스트와 함께 유학한 친구들이 라프 시몬스의 아디다스 스니커즈에 릭 오웬스 무스탕을 걸친 채 맥주를 홀짝이고 있었죠.” 이튿날 열린 경복궁 반대편인 서촌의 갤러리에서 열린 가구 작가의 전시 오프닝도 마찬가지. 그곳에 초대된 모 화장품 브랜드 VMD는 이렇게 묘사했다. “더는 ‘예술’ 한답시고 넝마를 두른 채 작가주의를 온몸으로 외치는 사람들은 없었어요. 질 좋은 블랙 코트에 로저 비비에 펌프스를 신은 사람들이 줄지어 들어왔으니까요. 사실 수백에서 수천만원을 호가하는 가구를 살 수 있는 컬렉터들이라면 충분히 가능하죠.”

    물론 갑자기 예술계 사람들이 놀라운 패션 센스를 가지게 된 것은 아닐 거라고 어느 패션 홍보 담당자는 전한다. 12월 중순 에르메스 미술상 후보를 축하하는 파티에 다녀온 그는 이렇게 말했다. “외국 유학을 통해 패션 감각을 터득한 아티스트들과 그들의 친구들, 갤러리 직원들 덕분에 패션 지수가 자연스럽게 올라간 것 같아요. 게다가 이제 예술은 궁극적인 쇼핑의 대상이 됐어요. 제프 쿤스를 사려는 사람들에게 지방시 핸드백과 셀린 구두는 별다를 것도 없으니까요.” 아울러 예술을 바라보며 연마된 뛰어난 미학은 패션 센스로 연결된 것이다.

    물론 모든 예술계 사람들이 패션에 목을 매는 건 아니다. 특히 서울의 젊은 아티스트들은 여전히 사람들의 관심에 더 목말라 하고, 또 제대로 된 전시 공간을 구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문래동 커먼센터와 통인동 시청각 등 독립 갤러리에 모이는 젊은 아티스트들과 팬들에겐 멋 내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아닐 수 있다. 88만원 세대의 아티스트들에게 패션이란 먼 나라의 이야기. 그렇기에 이 멋쟁이 예술계 인물들은 일부 부유한 컬렉터, 유명 갤러리나 아티스트에 국한된 일일지 모른다. 하지만 모처럼 빼입고 국립 현대 미술관에서 ‘인증 셀카’를 찍은 후 인스타그램에 올리는 요즘 젊은이들을 보면 이 현상이 잠깐 머물다 떠날 유행은 아닌 듯하다. 이런 풍경을 실제로 확인하고 싶다면, 2월 리움에서 열릴 양혜규 전시, 대림 미술관에서 가을에 열릴 패션 디자이너 헨릭 빕스코브 전시에 꼭 들러보기를! 한껏 멋 부린 아트 공작새들로 전시장이 가득할 테니까.

      에디터
      패션 에디터 / 손기호
      스탭
      ILLUSTRATION / JO YOUNG SOO

      SNS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