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의 아주 현대적인 실험

페로탱 갤러리 서울 분관에서 열리고 있는 로랑 그라소의 개인전은 규모와 상관없이 매우 야심차다. 가장 ‘현대적’인 ‘현대미술가’가 정의하는 ‘현대미술’의 ‘현재’를 목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성과 근대성, 역사와 정치, 상업과 예술의 숱한 만남이 유기적인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동네. 경복궁과 청와대를 곁에 둔 삼청동 초입, 팔판동에 ‘페로탱 갤러리’의 서울 분관이 들어선다는 소식은 그 자체로 이미 흥미진진했다. 세계적인 활동을 펼치는 매우 프랑스적인 갤러리, 페로탱의 예술적 안목이 일대의 문화 지형뿐 아니라 한국 미술계의 풍경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의 궁금증은 개관전의 주인공인 로랑 그라소(Laurent Grasso)의 작품으로 말미암아 확신에 찬 기대로 변모했다.
(사진) 종로구 팔판동에 문을 연 페로탱 갤러리 서울 분관.

페로탱 갤러리는 “프랑스 아티스트로서 명확한 정체성을 띠면서도 주제와 방식면에서 두려움 없이 실험하는, 그야말로 이질적이지 않으면서도 이국적이고, 동시에 (국립현대미술관, 리움 미술관 등에서의 전시를 통해) 친숙한 한국 아트 신과도 잘 어울리는 작가”라 판단했다. 회화, 영상, 조각, 사진 등 매체의 경계를 관통하는 다양한 작품은 공통적으로 로랑 그라소 특유의 다층적인 시간성과 공간성으로 직조되어 있는데, 이로써 관객은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낯선 세계를 마주하게 된다.
(사진) 페로탱 갤러리의 내부 전경.

“기상 현상으로서의 일식 자체보다는 상황이 주는 매혹적인 기묘함에 관심이 있어요. 나는 사물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그들 간의 관계에 관해 이야기해요. 일식도 하나의 현상일 뿐이지만, 사람들은 불안해하면서도 신비로운 징조로 받아들였어요. 과학이 발전한 지금도 여전히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은 미지의 영역이에요. 바꿀 수 있는 힘이 없기 때문에 ‘기이한’ 느낌마저 들죠. 이런 것이 제가 좋아하는 부분이에요.”
(사진) 설치 현장을 지켜보고 있는 로랑 그라소

전시장의 시간이 유독 천천히 흐르듯 느껴지는 건 영상 작품 ‘엘리제’ 덕분일 것이다. 카메라가 실제 프랑스 대통령의 집무실인 ‘황금 살롱’을 유유히 훑고 지나고, 니콜라스 고댕의 사운드가 나지막이 깔린다. 19세기의 황금 장식과 현대적인 물건을 밀착하여 보여주는 영상은 관객으로 하여금 무너진 시간의 경계를 거닐면서 전 시대에서 통용되는 가치, 즉 황금색의 화려한 궁 장식이 상징하는 권력의 미학을 재고하게 한다.
(사진) 네온 형태의 ‘Elysée’(2016).
- 에디터
- 윤혜정
- 포토그래퍼
- CHA HYE KYUNG
추천기사
인기기사
지금 인기 있는 뷰티 기사
PEOPLE NOW
지금, 보그가 주목하는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