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 멘키스가 품평한 2017 S/S 뉴욕 패션위크 – "See-now-buy-now", 뉴욕의 핫한 뉴 트렌드
패션 전문가가 아닌 일반 소비자들을 위한 쇼.
해가 뉘엿뉘엿 지는 브루클린 브릿지는 패션쇼가 대중들을 타겟으로 하기 전, 한 시대를 대표하는 이미지였다. 몇몇 디자이너들과 함께 타쿤 (Thakoon Panichgul)도 이번 뉴욕 패션위크에서 DFN (Designer Fashion Now)를 겨냥했다.
톰 포드부터 시작해서 타미 힐피거까지, 논란이 많았던 ‘쇼 나우 바이 나우’ 컬렉션들은 아직까지도 볼 때마다 충격적이다. 하지만 미국의 디자이너들은 유러피안 디자이너들과는 다르게 빨라진 디지털 시대를 받아들이는 것 같다.
“저에겐 새로운 시작이에요. 비즈니스 모델을 통째로 바꾸고, 이번 컬렉션에 많은 노력과 에너지를 쏟아내고 싶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옷을 보여주기 위해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고, 룰을 어기는 것 같은 기분도 들었죠.”
더위로 푹푹 찌던 뉴욕의 9월, 이번 쇼는 올 가을을 위한 컬렉션이었다. 루즈한 실루엣의 재킷, 크롭트 톱에 타이트한 바지 혹은 싸이하이, 적당한 길이의 스커트. 살색, 베이지색, 검정색 등 무채색과 섞인 타쿤의 디지털 나비 패턴과 밝은 체크 무늬는 매력적인 컬렉션을 만들어냈다.
각 관객석에는 31가지 룩 전체를 디테일하게 담아낸 책자가 놓어져 있었고, 패션 스캔 앱을 다운하여 각 제품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었다. 컬렉션을 항상 새롭고 신선하게 보이기 위해 모든 제품이 바로 구매 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2년 전부터 이런 소비자 노출을 생각해왔어요.” 패브릭 업계의 거물이자 타쿤의 대표인 실라 추가 전했다. 그의 딸 비비안은 소호 우스터 스트리트에 타쿤 오프라인 매장까지 오픈했다.
https://www.instagram.com/p/BKHgftrAxFc/
“타쿤은 굉장히 개방적인 마인드를 가진 디자이너에요. 그가 대량 생산이 아닌 전자 상거래를 하자는 아이디어를 냈죠. 이게 바로 스냅챗 (Snapchat) 시대를 위한거에요.” 실라 추가 말했다.
현재 2017 S/S 컬렉션을 선보이고 있는 디자이너들은 아마도 리테일 전통의 마지막 세대일 것으로 보인다.
과연 앞으로 전통을 고수하는 패션 브랜드들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컬렉션을 발표할 수 있을까? 가수 줄리 크루즈가 여성스럽고 레이스로 가득한 크리에이쳐스 오브 더 윈드 (Creatures of the Wind) 컬렉션에서 노래를 하며 앞으로 이는 갈등이 아니라 그저 디자이너 간의 차이일 것이란 걸 보여줬다.
프로그램 커버에 적혀있던 단어 “Angel”은 크리에이쳐스 오브 더 윈드의 듀오 디자이너가 전한 메시지 중 일부였다. 90년대 텔레비전 쇼 <트윈 픽스> 주제곡이 흘러 나오는 가운데 70년대의 주황빛과 60년대의 흑백 스타일이 자연스럽게 조합됐다. 영감은 젊은이들의 반란에서 얻었지만, 쇼의 전반적인 느낌은 낭만주의였다. 스트리트 스타일과 스포츠웨어의 예쁘면서도 웨어러블한 대조 효과는 패션이 항상 새로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번 뉴욕 패션위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 간의 싸움인가? 월드 트레이드 센터에 새로 오픈한 삭스 피프스 애비뉴 다운타운(Saks fifth Avenue Downtown) 스토어는 오히려 전통적인 방식을 고집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세련된 느낌의 매장은 천장이 금속으로 장식되었고, 에스컬레이터 맨 끝에 모든 베트멍 옷이 담긴 비닐백들이 걸려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의 패션 산업에 대한 충성심을 보였다.
그 외엔 일반 백화점과 다를게 없었다. 세련된 액세서리, 흰색 꽃 장식, 뭘 살지 고민하듯 자신의 머리를 만지고 있는 원숭이 모형 등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이 곳은 월스트리트의 부유한 직장인들이 좋아할만한 곳이었다. 매일 컴퓨터 스크린만 들여다 보고 있는 사람이라면, 오랜만에 실제 매장에서 쇼핑을 즐기기 딱좋은 그런 공간.
“현재 고객 중 85%가 매장에서 제품을 직접 구매해요.” 삭스 회장, 마크 메트릭(Marc Metrick)이 말했다. “사람들은 온라인에서 쇼핑을 즐길 수 있지만, 여기서도 어떤 제품이 새로 들어왔는 지 보고 바로 살 수 있죠.”
쇼핑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가 바뀌면서, 뉴욕 패션위크는 패션계에 새로운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것 같다. 온라인에서 구매하든 매장에서 구매하든, 시즌과 시간을 고려한 판매 방식으로 패션계는 바뀌어 가고 있다.

Creatures of the Wind Spring 2017 Ready-to-Wear

Creatures of the Wind Spring 2017 Ready-to-Wear

Creatures of the Wind Spring 2017 Ready-to-Wear

Creatures of the Wind Spring 2017 Ready-to-Wear

Thakoon Autumn 2016 Ready-to-Wear
- 글
- 수지 멘키스
- 포토
- COURTESY OF @SUZYMENKESVOGUE INSTAGRAM, INDIGITAL, NATASHA CO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