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인먼트

<놉>, 단언컨대 이 영화는 걸작이다

2022.08.20

by 민용준

    <놉>, 단언컨대 이 영화는 걸작이다

    동의하지 않는다 해도 상관없다. 10년 뒤에도 세상은 <놉>을 언급할 테니까.

    <놉> 공식 포스터. Courtesy Photos

    그러니까 이 모든 건 2초짜리 영상에서 시작된 일이었다.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움직이는 말’ 정도의 의미로 발음할 수 있는 <The Horse in Motion>(1878)은 최초의 영화라고 잘 알려진 뤼미에르 형제의 <열차의 도착>(1895)에 앞서 선보인 인류 역사상 최초의 동영상이라 할 수 있는 활동사진이었다. 영국의 사진가 에드워드 머이브리지가 촬영해 편집한 이 영상은 카메라 12대를 동원해 달리는 말의 모습을 연속적으로 촬영하고 현상한 사진을 이어 붙여 빠르게 돌리면 움직이는 모습처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영상 기법의 기본 원리를 제시한 최초의 사례였던 것이다.

    인류 최초의 동영상이라 불리는 <The Horse in Motion>의 사진. Plate Number 626. Gallop, thoroughbred bay mare, 에드워드 머이브리지, 1878, National Gallery of Art. Getty Images

    <겟 아웃>과<어스>를 연출해 동시대 감독으로 아이코닉한 지위를 차지한 조던 필의 신작 <놉>은 앞서 설명한 2초짜리 영상, <The Horse in Motion>을 중요한 영화 모티브로 내놓은 작품이다. 이는 영화의 기원이 순수한 관찰과 발견이라는 것을 설명하는 단서이기도 하지만 조던 필은 그렇게 만만한 감독이 아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영상이라 할 수 있는 <The Horse in Motion>에서 지워진 정보를 주목한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배우라고 볼 수 있는, 영상의 흑인 기수에 대한 일말의 정보가 없다는 사실에 착안해 영화를 기획한다. <놉>은 그렇게 시작된 영화다.

    Courtesy Photos

    Courtesy Photos

    Courtesy Photos

    할리우드 인근의 아과둘세에서 아버지(키스 데이비드)와 함께 헤이우드 말 목장을 운영하는 OJ(다니엘 칼루야)는 여느 날처럼 평범하게 하루를 시작한다. 흰 구름 사이로 파란 하늘이 보기 좋은 그날, 말 목장의 청사진을 그리는 아버지와 대화를 나누며 일상을 보내던 중 하늘에서 뭔가가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말에 타고 있다가 떨어져 쓰러진 아버지의 오른쪽 눈에 출혈이 심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급히 병원으로 달려가지만 끝내 아버지는 숨을 거두고 동전 하나를 받게 된다. 하늘에서 떨어진 동전이 아버지에게 치명상을 입힌 것이었다.

    <놉>에서 등장하는 헤이우드 말 목장은 일찍이 알리스테어 E. 헤이우드가 세운 것이었고, 그는 <놉>이 인용하는 영화의 기원 <The Horse in Motion>의 지워진 흑인 기수였다. 그러니까 헤이우드 가문은 인류 최초의 영화배우 집안이지만 기록되지 않은 탓에 그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할리우드에서 영화 촬영에 필요한 말을 공급하며 더 나은 삶의 기회를 노리는, 영화계의 주변인으로 살아가는 셈이다. 물론 이 모든 건 사실이 아니다. <놉>이 제시하는 알리스테어 E. 헤이우드도, 헤이우드 말 목장도, 실존하는 고유명사가 아니다. 명백한 허구다. <The Horse in Motion>을 통해 생각해낸 그럴듯한 거짓말인 셈이다.

    ‘만약’이라는 상상은 현실적으로는 무용하지만 모든 허구적 창작을 가능하게 만드는 기본 동력이다. <놉>이 실재하는 사실에 허구적인 고유명사를 접목한 허구를 작동시키는 동력 역시 ‘만약’에서 길어 올린 것이다. 그리고 조던 필에게는 다 계획이 있었다. <겟 아웃>과 <어스>를 통해 흑인 배우를 주인공으로 둔 ‘블랙 호러’를 연출해온 그는 <놉>을 통해 일찍이 세상에 없던 새로운 흑인 배우가 주연인 영화를 만들고 초유의 상상력을 동원해 가공할 스펙터클을 제시한다. 태초에 지워진 흑인 배우를 떠올리게 만드는 동시에 결코 잊지 못할 놀라운 영화적 체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놉>은 그 자체로 대단한 야심이다. 그리고 끝내 비범한 재능임을 인정하게 만드는 성취이기도 하다.

    Courtesy Photos

    Courtesy Photos

    헤이우드 남매, 그러니까 OJ와 에메랄드(케케 파머)가 사는 집의 벽에는 흑인 배우 최초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 시드니 포이티어가 연출하고 주연을 맡은 영화 <벅 앤 프리처>(1972) 포스터가 붙어 있다. 이 작품은 흑인 배우가 주연을 맡은 최초의 서부극이었다. <놉>은 그런 야심을 바탕에 두고 만든 독특한 서부극이다. 카우보이가 등장하진 않지만 카우보이를 모델로 둔 테마파크를 운영하는 주프(스티븐 연)라는 인물이 등장하고, 극 중에서 말을 타는 건 오직 흑인인 OJ뿐이다. 그리고 그들 위로는 구름 사이로 날렵하고 신속하게 이동하며 모종의 기회를 엿보는 어떤 존재가 자리한다. 소위 말하는 UFO처럼 보이는 이 존재는 <놉>을 특별한 흑인 주연의 서부극으로 만드는 SF적 상상의 산물이면서 그런 장르적 규정의 경계를 뛰어넘어 더 높고 멀리 나아가는 놀라운 발상의 경지이기도 하다.

    “요즘은 UFO(미확인 비행 물체)가 아니라 UAP(미확인 항공 현상)으로 부른다”는 극 중 대사는 <놉>이 끝내 보여주고자 하는 상상을 구현해낸 결과물에 관한 명백한 복선일 것이다. 그럼으로써 끝내 자신의 목장 위를 날아다니는 위협적인 존재에 맞서는 흑인 영웅의 대결 구도를 그리는 영화로 나아가는 동시에 동시대 영화와 영상을 비롯한 엔터테인먼트에 관한 비범한 질문으로 비상한다. <놉>은 타인의 관심을 자극하고 이를 재화 가치로 만들고자 하는 동시대 욕망에 관한 영화이기도 하다. UFO를 연상시키는 기이하고 거대한 뭔가가 구름에 은둔하며 자신들의 머리 위로 날아다니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인물들은 하나같이 그것을 찍어서 세상에 알릴 지위를 획득해 돈을 벌겠다는 야심을 품는다. 그리고 그 야심은 대체로 극악하고 처참한 체험으로 되돌아온다.

    <놉>의 연출을 맡은 조던 필 감독. Courtesy Photos

    <놉>의 연출을 맡은 조던 필 감독. Courtesy Photos

    조던 필 감독은 <놉>을 찍는 데 모티브가 된 영화로 <킹콩>이나 <쥬라기 공원>을 언급한 바 있다. 두 영화의 공통점은 돈을 벌겠다는 야심에 눈이 멀어 거대하고 강력한 피조물을 길들일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된 인간의 어리석음에서 비롯된 인재를 감당하는 세상을 엔터테인먼트로 제시하는 영화라는 점이다. <놉>은 바로 그런 욕망에 ‘놉’이라고 답하라고 주문하는 작품처럼 보인다. <놉>은 자꾸 하늘을 올려다보게 만드는 기이한 영화인데 영화에서는 하늘을 나는 불길한 존재로부터 끔찍한 일을 당하지 않으려면 결코 쳐다보지 말아야 한다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는 결국 자신의 호기심을 자극하기만 하는 끔찍한 엔터테인먼트로 점철된 세상을 향한 진단처럼 보인다. 매 순간 다양한 경로로 떠밀려오는, 콘텐츠를 빙자한 갖은 자극적 영상에 노출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건 결국 보지 않으려는 결심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놉>이 선사하는 시네마틱한 체험은 결국 영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자 비전의 선언처럼 보인다. 흥미로운 건 <놉>이 지난 3년간 미국에서 개봉한 영화 가운데 가장 높은 개봉 첫 주 흥행 기록을 세운 작품이었다는 사실이다. 원작도 없고, 속편도 아닌 오리지널 각본으로 만든 영화라는 데 방점을 찍을 만하다. 기존 상상이나 성취에 기대지 않고 오로지 어느 개인의 상상의 물줄기에서 뽑아낸 거대한 성취이자 단일한 창작의 결과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놉>이 선사하는 경이적인 카타르시스는 그것이 끝내 흑인 영화를 넘어 마음을 웅장하게 만드는 결말로 나아가며 여성 영화라는 평가를 획득한다는 점에 있다.

    명백하게 <아키라>의 명장면인 카네다 바이크의 스톱 슬라이딩 신을 연상시키는 후반부 시퀀스는 온전히 에메랄드의 활약상으로 채워지는데 이는 흑인 여성이라는, 어쩌면 지금 가장 영화계에서 소외되기 쉬운 존재를 가장 비범하게 끌어올리겠다는 조던 필의 야심을 공고하게 보여주는 결과처럼 보인다. 제목을 포함해 여섯 개의 챕터로 구성된 <놉>의 마지막 챕터 ‘진 재킷’은 에메랄드가 자신이 길들이게 될 첫 말이 되리라 기대한 이름이었다. 하지만 결국 아버지는 그 기회를 오빠에게 물려줬고, 기대는 좌절로 추락해 회한으로 박혀 있었다. 그러나 정체를 알 수 없는 기이한 존재에게 진 재킷이라는 이름을 붙인 오빠는 거듭 동생에게 신호를 보낸다. ‘내가 너를 지켜보고 있다.’ 이는 누구보다 동생의 가능성을 아끼는 오빠의 격려였다. 영화 말미에서 비로소 질주해 자신의 능력을 폭발시키고 그 이름에 걸린 회한마저 터트리는 에메랄드의 활약상은 그런 연대에 바탕에 둔 온정의 피날레인 셈이다. 그리고 이 비범한 결말로 다다르는 130분의 여정 끝에서 남는 건 명징한 확신이다. 이 영화는 분명 걸작이다. 동시대를 넘어 두고두고 회자될, 단언컨대 우리 시대에 찾아온 새로운 고전이다.

    민용준(영화 저널리스트 &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사진
    Courtesy Photos, Getty Images

    SNS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