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로의 민족에게 ‘닥터슬럼프’
드라마 <닥터슬럼프> 명대사. 우울증에 걸리고 직장도 잃은 남하늘(박신혜)이 “쓸데없이 최선만 다하다 쓰러졌다” 푸념하자 고교 시절 라이벌 여정우(박형식)가 말한다. “우리 쓰러진 김에 좀 쉬자.”
고교 시절 하늘과 정우는 한국대 의대가 목표인 전국구 수재였다. 하지만 둘의 공부 스타일은 달랐다. 하늘은 화장실 갈 시간을 아끼느라 믹스 커피를 가루째 삼키면서 책만 팠다. 친구도 없고 그 시절 유행가 하나 몰랐다. 반면 정우는 부드러운 성격으로 친구들과 잘 어울렸다. 의사가 된 후에도 둘의 길은 달랐다. 하늘이 대학 병원 마취과에서 교수 치다꺼리하느라 심신이 부서지는 동안 정우는 성형외과를 개업하고 쇼 닥터가 되어 돈을 쓸어 모았다. 그러던 두 사람이 모두 쓰러졌다.
하늘은 자신을 착취하던 교수를 들이받았다. 소문이 나서 재취업도 어렵다. 가족은 하늘을 사랑하지만 그가 무엇을 견디며 살아왔는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하나뿐인 친구 홍란(공성하)은 여전히 의사로 바쁘다.
정우는 수술실에서 환자를 잃었다. 거기 얽힌 음모를 풀어가는 게 드라마 중후반의 관람 포인트지만 일단은 의료사고다. 100억원대 소송에 휘말린 정우는 자산을 몽땅 처분하고 하늘네 집 옥탑으로 이사 온다. 정우 쪽은 가족과도 문제가 있어 보인다. 고교 시절부터 정우에게 알랑거리던 친구들은 정우가 망하자 등을 돌린다. 이제 하늘과 정우는 서로의 처지를 이해하고 인성을 증언하는 유일한 존재로서 마주한다.
번아웃에 빠진 주인공은 요즘 한국 드라마의 클리셰다. 치유 혹은 파멸 중에 <닥터슬럼프>가 내딛는 방향은 치유 쪽인 것 같다. 평생 자신을 학대해온 하늘이 오락실, 노래방, 술집에서 정우와 티격태격하며 노는 모습은 귀엽기도 하고 웃기기도 하다. 보고 있으면 해방감도 든다. 하지만 남하늘이 처한 상황은 힐링 드라마의 소재라고 가볍게 보아 넘길 내용은 아니다.
하늘의 마취과 지도 교수는 자기 수술을 자꾸 하늘에게 떠넘겼다. 철 지난 주제로 논문 대필을 시켰다가 심사에서 떨어지자 하늘을 탓했다. 아마도 집안이 좋을 게 분명한 다른 학생 이름을 하늘의 논문에 끼워주라고 종용도 했다. 급기야 지도 교수는 수술실에서 벌어진 자기 과실을 하늘에게 덮어씌우고 대리 사과까지 요구했다.
권위를 이용해 부하들을 착취하는 무능한 엘리트는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드문 캐릭터가 아니다. 최근 넷플릭스 드라마 <선산>도 그랬다. 한국 미술 시간강사 윤서하(김현주)와 지도 교수 관계가 선산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미스터리보다 오싹했다. 서하는 정교수 임용을 위해 지도 교수의 책을 대필한다. 틈만 나면 충직한 개처럼 복종의 사인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소득은 없다. 서하는 지도 교수의 생일이라고 발렌타인 17년산을 들고 찾은 자리에서 다른 부잣집 딸이 정교수로 임명됐다는 소식을 듣는다. 부잣집 딸이 사온 것은 발렌타인 30년산이었다. 홍상수 감독의 <강원도의 힘>(1998)이 떠오르는 장면이다. <강원도의 힘>에서 교수 임용 청탁을 위해 주인공이 갖다 바친 것은 조니워커 블루였다. 그렇다, 한국 학계의 정치질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고 비밀도 아니다.
학계만 문제도 아니다. 드라마 <내 남편과 결혼해줘>에는 번번이 부하 직원들의 공을 가로채고 쓸 만한 직원일수록 승진을 방해해서 만만하게 부리려는 대기업 과장 김경욱(김중희)이 등장한다. 정도는 달라도 직장인이라면 한두 번은 목격했음직한 상황이다. 최근 <신경 끄기의 기술> 작가 마크 맨슨의 한국 여행 유튜브 콘텐츠가 화제였다. 그는 한국을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국가’라 칭하며 ‘유교와 자본주의의 단점 결합’을 원인으로 꼽았다. 드라마를 현실 세계의 반영이라 본다면 적어도 직장 문제에 한해 그의 진단은 옳았다.
<닥터슬럼프>에서 우울증 판정을 받은 하늘은 독백한다. “하루 17시간 누구보다 열심히 일하면서도 나는 죄인이었고 멍청이였고 온종일 욕을 먹으며 죄송하다고 사과하는 나날의 연속이었지만 그래도 괜찮았다. 내가 가고 있는 곳이 보물섬이 아닐지도 모른다 의심하면서도 걸어갔다.” 하늘이 그렇게 자신을 몰아붙인 ‘개인적 이유’는 이거다. “나는 있지. 가장 먹고 싶은 건 아꼈다가 제일 나중에 먹는 사람이거든? 그래서 행복도 그렇게 미뤘어. 교수가 되면 맛있는 것도 더 맛있겠지. 교수가 돼서 해외여행 가면 더 재밌겠지. 해외여행도 일등석 타고 가면 더 재밌겠지. 그렇게 모든 걸 다 내일로 미룬 채 일만 했다고.” 그런데 그게 전부일까? 하늘의 동료들은 부당한 상황을 목격하고도 입을 다문다. 심지어 지도 교수가 연구비와 퇴직금까지 횡령했다는데도 그를 고발하는 대신 관습에 순응하는 쪽을 택한다. 교수가 되어 지금까지 들인 시간과 노력을 보상받으려면 자기도 체제의 일부가 되어야 하니까. 선비 정신은 사라지고 입신양명 경쟁과 유교적 질서만 남은 상후하박 사회에선 그래야 살아남으니까. 남하늘의 병은 정말 개인적인 것인가?
드라마가 아무리 현실을 고발해도 세상은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다. <선산>의 서하는 마지막에 학계를 뛰쳐나와 시민 문화 강좌를 하는 스튜디오를 낸다. 그 결말은 위로보다는 냉소였다. 세상이 바뀌는 건 판타지다, 사람이 바뀌는 게 그나마 리얼리티다라는. <닥터슬럼프>의 남하늘이 어떻게 될지는 아직 모른다. 상황이 반전되어 병원으로 돌아갈 수도, 정우와 개업을 할 수도, 엄마의 칼국숫집을 물려받거나 취미를 살려 오락실을 차리거나 쓰러진 김에 죽 쉴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느 쪽이든 뒷맛은 씁쓸할 것이다. 드라마 자체는 사랑스럽고 재미있다. 낮은 시청률이 이해가 안 갈 정도다. 씁쓸한 건 그것이 부각시킨 현실이다. 드라마 밖에서 우리가 살아내야 하는, 이 치사하고 끝이 보이지 않는 현실 말이다.
추천기사
인기기사
지금 인기 있는 뷰티 기사
PEOPLE NOW
지금, 보그가 주목하는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