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nny Cat





동서고금의 예술가들이 오래전부터 고양이의 ‘언캐니(Uncanny, 낯선)’ 매력에 사로잡혀 있었던 건 널리 알려진 진실이나, 논객 진중권이 쓴 <고로 나는 존재하는 고양이>(천년의 상상)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존경하는 철학자 루트비히 요제프 요한 비트겐슈타인의 이름을 딴 ‘루비’라는 반려묘를 키우는 진중권은 고양이라는 존재를 놀라울 정도로 깊이 있는 철학과 역사의 시선으로 풀어낸다. 하지만 이건 ‘고양이의 모든 것’이 아니다. 이는 진중권이 도출한 ‘고양이 인문학’ 덕분일 텐데, 루비와 함께 지내며 하던 생각을 고려시대 이규보도, 16세기 몽테뉴, 20세기의 T. S. 엘리엇도 했다는 사실은 역사를 관통하는 가치가 존재한다는 증거. 그 과정에서 ‘지혜로운 집사가 되기 위한 지침서’는 세상 모든 문제의 발단인 ‘인간 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세상을 반추한다. 하지만 기억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오직 고양이라 가능하다는 것을. 진중권 역시 “루비가 말하고 나는 그저 받아 적었을 뿐”이라 했다.
- 에디터
- 윤혜정
- 포토그래퍼
- COURTESY PHOTOS
추천기사
-
라이프
전지현 이런 모습 처음이지?
2025.05.09by 박채원
-
아트
배우 박정민이 만든 시각장애인을 위한 듣는 소설, ‘첫 여름, 완주’
2025.04.23by 이정미
-
아트
켄달 제너, 그녀가 사랑하는 8권의 책
2025.05.02by 김현유, 황혜원, Lolita Mang
-
아트
론 뮤익, 조각의 경이
2025.04.21by 김나랑
-
아트
한 번쯤 꼭 읽어봐야 할 단편소설 17
2025.04.23by 이소미, Paolo Armelli
-
아트
읽지도 않는 책이 점점 쌓여가고 있다면? 당신은 '츤도쿠'
2025.04.23by 안건호, María Quiles
인기기사
지금 인기 있는 뷰티 기사
PEOPLE NOW
지금, 보그가 주목하는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