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정복’ 가능한 약의 등장?
인류의 피할 수 없는 적, 비만. 만성질환의 원인인 비만에서 벗어나기 위해 많은 이들이 다이어트를 결심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운동과 식이요법, 보조제 등을 동원해 어렵게 다이어트에 성공해도 그 뒤에는 요요 현상이 기다리고 있죠.
최근에는 다이어트 보조제, 다이어트 주사 등 체중 감량을 위한 비만 치료제가 예전에 비해 다양하게 출시됐지만, 효과가 제한적이거나 부작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게다가 값이 비싸다는 단점도 있죠.

국내 연구진이 비만의 비밀이 뇌에 있음을 밝히고, 실컷 먹어도 살이 찌지 않게 하는 신약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지난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팀은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권위 있는 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에 실렸습니다.
이번에 개발한 신약 ‘KDS2010’을 투여하면 식사량과 상관없이 체중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약으로 체중 감량이 가능한 걸까요? 뇌 속 비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에서 찾은 지방 대사 조절 원리를 통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성상교세포는 별 모양을 하고 있어 ‘별 세포’로도 불리는데요. 평소에는 뇌 신경세포에 영양분을 운반해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구진이 주목한 건 뇌 속 ‘체중 조절 스위치’ 가브라5(GABRA5)! 뇌에 있는 신경세포 군집 가브라5는 몸 전체 지방세포와 연결돼 있는데요. 이것이 활성화되면 체중이 감소하고, 활동성이 떨어질수록 체중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어 가브라5 활성을 조절하는 스위치가 성상교세포라는 사실도 밝혀냈습니다. 성상교세포 수가 많아지면 마오비(MAO-B) 효소가 나와 지속성 신경 물질 ‘가바(GABA)’가 많이 생성돼 가브라5가 억제되고, 반대로 마오비 효소를 억제하면 가브라5가 활성화돼 체중이 감소하는 현상을 발견했죠.

연구팀은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는 비만의 원인을 지방세포를 포함한 주변 조직에서 찾았으나, 이번 연구는 비만의 원인이 뇌에 있음을 명쾌하게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연구팀은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KDS2010의 부작용 여부를 살펴보는 임상을 진행 중입니다. 과연 KDS2010은 전 세계 10억 비만인의 희망이 될 수 있을까요?
최신기사
- 포토
- Pexels
추천기사
-
라이프
나야 집순이, 김연아!
2025.04.30by 박채원
-
웰니스
저속 노화에 탁월한 철분 가득 지중해 음식!
2025.05.02by 장성실, Violeta Valdés
-
웰니스
하루에 한 스푼씩 먹기 시작한 후 머리카락이 건강하고 굵어졌어요
2025.04.12by 장성실, Alessandra Signorelli
-
웰니스
영양사가 추천하는, 단백질 셰이크 효과 제대로 보는 법
2025.04.25by 장성실, Audrey Noble
-
웰니스
16:8, 당신이 이미 알고 있는 강력한 노화 방지 식사법
2025.04.26by 김초롱, Veronica Cristino
-
웰니스
치과 의사가 조언하기 전까진 '구강 청결제'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2025.04.14by 안건호, Violeta Valdés
인기기사
지금 인기 있는 뷰티 기사
PEOPLE NOW
지금, 보그가 주목하는 인물